![](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CIuHm/btrMiSBB4Io/ovjvaESVRNtGt0x3ueulg1/img.jpg)
프로젝트 리액터 프로젝트 리액터(Project Reactor)는 리액티브 스트림의 구현체 중 하나로 스프링의 에코시스템 범주에 포함된 프레임워크이다. 리액티브 스트림 사양을 구현하고 있기 때문에 리액티브 스트림에서 사용하는 용어와 규칙을 그대로 사용한다. 리액터를 사용하면 애플리케이션에 리액티브 프로그래밍을 적용할 수 있고, 비동기-논블로킹을 적용할 수 있다. 여기에 함수형 프로그래밍의 접근 방식을 사용해서 비동기-논블로킹 코드의 난해함을 어느정도 해결한다. Mono & Flux 리액터는 리액티브 스트림의 publisher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는 모노(Mono)와 플럭스(Flux)라는 두 가지 핵심 타입을 제공 모노(Mono)는 0..1개의 단일 요소 스트림을 통지하는 발행자이다. 플럭스(Flux)는 0...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bu3oJf/btrLTWMdxtg/PxDJrUrm9tH95DD1OFqx91/img.png)
동기 프로그래밍 동기(Synchronous)방식의 프로그램에서 작업의 실행 흐름은 순차적으로 동작한다. fun main() { // 실시간 주식 정보를 가져온다. val stock: StockDto = getRealtimeStockData("APPLE") println("주식 심볼 : ${stock.symbol}") println("시가 : ${stock.price.open}") println("종가 : ${stock.price.close}") println("시가총액 : ${stock.price.marketCap}") } 순차적으로 동작하는 프로그램은 코드를 파악하기 쉽고 결과를 예측하기 쉬우므로 디버깅이 쉽다. 특정 작업을 실행하는 동안에는 다른 작업을 할 수 없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비동기 프로그래..
- Total
- Today
- Yesterday
- 스프링부트
- kotlin
- 파이썬
- 그리디
- 정렬
- Algorithm
- mysql 8.0
- 백준
- 북클럽
- 릿코드
- 문자열
- 코틀린
- MySQL
- 인프런
- 자료구조
- 노마드코더
- 구현
- 알고리즘
- 리팩토링
- spring boot
- 스프링
- Spring
- leetcode
- Real MySQL
- 코테
- 데이터베이스
- 스프링 부트
- 노마드
- webflux
- 김영한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