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T API REST는 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의 약자로 아키텍처 스타일이다. 아키텍처 스타일은 아키텍처 패턴과는 조금 다른데, 아키텍처 패턴은 어떤 반복되는 문제 상황을 해결하는 도구이고, 아키텍처 스타일은 반복되는 아키텍처 디자인을 의미한다. REST 아키텍처 스타일은 6가지 제약조건으로 구성되며, 이 가이드 라인을 따르는 API를 RESTfull API라고 한다. REST 제약 조건 클라이언트-서버(Client-Server) 상태가 없는(stateless) 캐시되는 데이터(Cacheable) 일관적인 인터페이스(Uniform Interface) 레이어 시스템(Layered System) 코드-온-디맨트(Code-On-Demand) 클라이언트-서버(Client-Se..
클린코드로 유명한 로버트 마틴이 좋은 객체 지향 설계의 5가지 원칙을 정리하였다. SRP: 단일 책임 원칙(Single Responsibility Principle) OCP: 개방-폐쇄 원칙(Opne Closed Principle) LSP: 리스코프 치환 원칙(Liskov Substitution Principle) ISP: 인터페이스 분리 원칙(Interface Segregation Principle) DIP: 의존관계 역전 원칙(Dependency Inversion Principle) SRP 단일 책임 원칙(Single Responsibility Principle) 한 클래스는 하나의 책임을 가져야 한다. 하나의 책임이라는 기준은 모호하다. 클 수도 있고, 작을 수도 있다. 문맥과 상황에 따라 다르다...
- Total
- Today
- Yesterday
- 리팩토링
- kotlin
- webflux
- 노마드
- Algorithm
- 스프링부트
- 인프런
- 자료구조
- MySQL
- 코테
- 스프링 부트
- 파이썬
- spring boot
- 스프링
- 알고리즘
- 정렬
- 구현
- mysql 8.0
- 데이터베이스
- 백준
- 그리디
- 릿코드
- 김영한
- 북클럽
- 문자열
- 코틀린
- Spring
- leetcode
- 노마드코더
- Real MySQL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