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데이터베이스 연결 구조
사용자는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WAS)나 DB 접근 툴 같은 클라이언트를 사용해서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접근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는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연결을 요청하고 커넥션을 맺게 되는데, 이때 데이터베이스 서버는 내부에 세션이라는 것을 만든다. 이후 커넥션을 통한 모든 요청은 이 세션을 통해 실행된다.
개발자가 클라이언트를 통해 SQL을 전달하면 현재 커넥션에 연결된 세선이 SQL을 실행한다. 세션은 트랜잭션을 시작하고, 커밋 또는 롤백을 통해 트랜잭션을 종료
한다. 사용자가 커넥션을 닫거나, 세션을 강제로 종료하면 세션이 종료된다.
커넥션 풀이 10개의 커넥션을 생성하면, 세션도 10개가 만들어진다.
트랜잭션 개념 이해하기
아래 예제(격리 수준: READ_COMMITED)는 트랜잭션 개념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구체적인 실제 구현 방식은 데이터베이스마다 다르다. 만약 MySQL의 트랜잭션 격리 수준에 대해 알고 싶으면 여기에서 확인할 수 있다.
트랜잭션 사용법
데이터 변경 쿼리를 실행하고 데이터베이스세 그 결과를 반영하려면 커밋 명령어인 commit을 호출하고, 결과를 반영하고 싶지 않으면 롤백 명령어인 rollback을 호출하면 된다. 커밋을 호출하기 전까지는 데이터베이스에 변경 사항을 반영하지만, 실제로 저장하지는 않는다. 따라서 해당 트랜잭션을 시작한 세션(사용자)에게만 변경 데이터가 보이고, 다른 세선(사용자)에게는 변경 데이터가 보이지 않는다.
세션 1, 세션 2가 가운데 위치한 기본 테이블을 조회하면 해당 데이터가 그대로 조회된다.
세션 1은 트랜잭션을 시작하고 신규 회원 1, 신규 회원 2를 DB에 추가했다. 아직 커밋은 하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에 데이터베이스에 반영은 되지만, 실제로 저장되지는 않은 상태이다.
- 세션 1은 select 쿼리를 실행해서 본인이 입력한 신규 회원 1, 신규 회원 2를 조회할 수 있다.
- 세션 2는 세션 1이 아직 커밋을 하지 않았기 때문에 select 쿼리를 실행해도 신규 회원들을 조회할 수 없다.
세션 1이 신규 데이터를 추가하고 commit을 호출하면 새로운 데이터가 실제 데이터베이스에 반영된다. 이후 다른 세션에서도 신규 회원들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만약 세션 1이 신규 데이터를 추가한 후에 commit 대신 rollback을 호출하면, 데이터베이스에 반영한 모든 데이터가 처음 상태로 복구된다. 수정하거나 삭제했던 데이터들도 rollback을 호출하면 모두 트랜잭션을 시작하기 직전의 상태로 복구된다.
'Spr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Spring] 트랜잭션 추상화 (0) | 2025.01.12 |
---|---|
[Spring] 데이터베이스 Lock 이해하기 (0) | 2024.12.29 |
[Spring] DataSource 이해 (0) | 2024.12.24 |
[Spring] 커넥션 풀 이해하기 (0) | 2024.12.23 |
[Spring] JDBC와 데이터베이스 접근 이해하기 (0) | 2024.12.21 |
- Total
- Today
- Yesterday
- 스프링부트
- 김영한
- 인프런
- kotlin
- 노마드코더
- 파이썬
- 정렬
- 문자열
- webflux
- mysql 8.0
- 코틀린
- 스프링 부트
- spring boot
- 알고리즘
- Spring
- 노마드
- Real MySQL
- Algorithm
- leetcode
- 스프링
- MySQL
- 데이터베이스
- 릿코드
- 백준
- 그리디
- 코테
- 자료구조
- 구현
- 북클럽
- 리팩토링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