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만약 서비스 계층이 JDBCRepository 구현체에 의존하고 있는 상황에서, 향후 JPA와 같은 다른 데이터 접근 기술로 변경하면 서비스 계층의 트랜잭션 관련 코드도 모두 변경해주어야 합니다.JDBC 트랜잭션 의존JDBC -> JPA로 변경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트랜잭션 기능을 추상화하면 됩니다. 단순하게 생각해보면 아래와 같이 인터페이스를 만들어서 사용하면 될 것 입니다.public interface TxManager { begin(); commit(); rollback();}트랜잭션 추상화와 의존관계서비스는 특정 트랜잭션 기술에 직접 의존하는 것이 아니라, TxManager라는 추상화된 인터페이스에 의존하고 있습니다. 이제 원하는 구현체를 DI를 통해서 주입받기만 하면 되는데..

커넥션을 획득하는 다양한 방법DriverManager를 통해 커넥션 획득커넥션을 얻는 방법은 JDBC DriverManager 를 직접 사용하거나, 커넥션 풀을 사용하는 등 다양한 방법이 존재한다.DriverManager를 통해 커넥션 획득하다가 커넥션 풀로 변경시 문제만약 DriverManager를 통해서 커넥션을 획득하다가, 커넥션 풀을 사용하는 방법으로 변경하려면 어떻게 해야할까?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 로직에서 DriverManager 를 사용해서 커넥션을 획득하다가 HikariCP 같은 커넥션 풀을 사용하도록 변경하면 커넥션을 획득하는 애플리케이션 코드도 함께 변경해야 한다. 의존관계가 DriverManager에서 HikariCP로 변경되기 때문이다. 그리고 둘의 사용법도 조금씩 다를 것이다.커..

데이터베이스 커넥션을 획득할 때는 다음과 같은 복잡한 과정을 거친다.애플리케이션 로직은 DB 드라이버를 통해 커넥션을 조회한다.DB 드라이버는 DB와 TCP/IP 커넥션을 연결한다. 물론 이 과정에서 3 way handshake 같은 TCP/IP 연결을 위한 네트워크 동작이 발생한다.DB 드라이버는 TCP/IP 커넥션이 연결되면 ID, PW와 기타 부가정보를 DB에 전달한다.DB는 ID, PW를 통해 내부 인증을 완료하고, 내부에 DB 세션을 생성한다.DB는 커넥션 생성이 완료되었다는 응답을 보낸다.DB 드라이버는 커넥션 객체를 생성해서 클라이언트에 반환한다.이렇게 커넥션을 새로 만드는 것은 복잡하고 시간도 많이 소모되는 일이다. DB는 물론이고 애플리케이션 서버에서도 TCP/IP 커넥션을 새로 생성하기..
- Total
- Today
- Yesterday
- leetcode
- 리팩토링
- 김영한
- 알고리즘
- 그리디
- 스프링
- 스프링부트
- 파이썬
- 데이터베이스
- webflux
- 노마드
- 노마드코더
- 정렬
- 문자열
- 자료구조
- Algorithm
- 인프런
- 백준
- spring boot
- 코테
- Spring
- 릿코드
- kotlin
- 스프링 부트
- MySQL
- mysql 8.0
- 구현
- Real MySQL
- 코틀린
- 북클럽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