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프링이 제공하는 빈 후처리기 이전 포스트에서 빈 후처리기가 무엇인지 직접 적용해보면서 알아보았다. 이번에는 BeanPostProcessor를 직접 구현하지 않고 스프링이 제공하는 빈 후처리기를 알아볼 것인데, 이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build.gradle에 해당 라이브러리를 추가해주어야 한다.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aop' 이 라이브러리를 추가하면 aspectjweaver라는 aspectJ 관련 라이브러리를 등록하고, 스프링 부트가 AOP 관련 클래스를 자동으로 스프링 빈에 등록한다. 스프링 부트가 없던 시절에는 @EnableAspectJAutoProxy를 직접 사용해야 했는데, 이제는 스프링 부트가 ..

빈 후처리기 빈 후처리기는 빈을 생성한 후에 무언가를 처리하는 용도로 사용하는데, 객체를 조작하거나, 다른 객체로 바꿔치기 하는 기능을 제공하므로 스프링이 생성한 객체를 빈 저장소에 등록하기 직전에 조작하고 싶다면 빈 후처리기를 사용하면 된다. public interface BeanPostProcessor { Object postProcessBeforeInitialization(Object bean, String beanName) throws BeansException Object postProcessAfterInitialization(Object bean, String beanName) throws BeansException } 빈 후처리기를 사용하려면 BeanPostProcessor 인터페이스를 구현..
- Total
- Today
- Yesterday
- 코테
- 정렬
- 릿코드
- 리팩토링
- 데이터베이스
- 인프런
- 노마드
- Spring
- mysql 8.0
- 알고리즘
- 자료구조
- 그리디
- 코틀린
- spring boot
- 스프링
- 노마드코더
- 문자열
- MySQL
- webflux
- 스프링 부트
- leetcode
- 스프링부트
- 구현
- Real MySQL
- Algorithm
- 김영한
- kotlin
- 파이썬
- 북클럽
- 백준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